분류 전체보기

    [Daily Log] 2024.10.17 LOG

    1. 🚩 목표설정: 24.10.17어제 못한 To-do 마저하기 [대학] 학과 시험준비 DB - SQL 기초개념정리 MEA - 4장 개념정리 마무리 MEA - 5장 개념정리 데이터베이스 과제 프로젝트 회의 준비 (아이디어 정리, BE 개발공수 측정) [우테코] 우아한테크코스 풀이관련 공지 확인 구현사항 정리 후 Readme.md에 내용 작성 구현사항 별 Commit 계획 수립 [개인공부] SQL 설계연습 Spring Controller 최적화 2. 🏃🏻 활동 정리 DB과제 마무리어제 DB과제를 하다 시간이 너무 늦어 마무리하고 바로 집으로 갔습니다.오늘은 과제를 끝내야 시험공부를 시작할 수 있어 우선적으로 해치우려 합니다.중간에 일정이 있어 다녀와 과제를 마무리했습니다.생각보다 과제에 DML을 사용..

    [수학] 유클리드 호제법;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빠른 방법

    소개 임의의 2개 수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과정에 대하여, 각 수를 임의의 수로 나눠보는 과정 없이 빠르게 최대공약수를 구해내는 방법 개념 두 양의 정수 a, b에 대하여, a = bq + r (0 ≤ r < b)일 때,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만약 r이 0이라면,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이다. public static int gcd( int a, int b ) { int r = a % b; while( r != 0 ) { a = b; b = r; r = a % b; } return b; } 시간복잡도: O(logn) 원리 [수학알고리즘] 유클리드 호제법 [수학알고리즘] 유클리드 호제법 이 글에서는 유클리드 호제법의 증명과 원리를 다룹니다. justicehui.git..

    [수학] 소수판정 알고리즘

    개요 백준 문제풀이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했던 알고리즘들을 유형별로 정리하여 분석 및 복습하고자 별도의 글로 정리하게 됨 정의: 소수(Prime Number) 소수란 자신보다 작은 수들의 곱으로 만들어질 수 없는, 약수를 1과 자신밖에 가지지 못하는 수를 말합니다. 소수가 등장하는 순서에 규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수를 판정하는 알고리즘은 시간복잡도가 중요합니다. 방법1. 약수범위 내에서 하나씩 나눠보며 소수여부 판단 1) 2부터 1씩 늘려가며 나눠보고 판단하기 1은 모든 소수의 약수이므로, 2부터 1씩 늘려가며 판별하고자 하는 숫자와 일일히 나눠보는 방법으로, 가장 간단하면서 원초적인 방법입니다. // 판독하고자 하는 숫자: n i값을 2부터 n까지 1씩 늘리며 순회하는 과정에서 아래 작업을 반복수..

    [아대밀맵] 쌩판 CentOS의 node서버 배포기 (with apache) - 4. MongoDB 설정설정: 2) 계정생성 및 로그인기능 설정

    0. 개요 ...네 군대에 왔습니다 (젠장) 군대를 간 와중에 아대밀맵 미디어 서버가 의도치 않게 삭제되었고 다시 설정해야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ㅠ) 이 포스팅들은 기존에 github에 있던 코드를 다시 가져와 서버를 재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그중 centos 초기 설정에서 ssh를 설정했던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mongoDB는 기본적으로 접속을 할 때 별도의 계정설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db에 접속할 수 있다면 보안성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계정을 만들어 특정 계정으로만 서비스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계정 권한 생성 (선택) 계정을 생성하기 앞서, 계정에 부여할 권한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mongoDB는 사용자가 원하는 action을 지정하여 사용자 정의 r..

    [아대밀맵] 쌩판 CentOS의 node서버 배포기 (with apache) - 4. MongoDB 설정설정: 1) 기본설정하기

    0. 개요 ...네 군대에 왔습니다 (젠장) 군대를 간 와중에 아대밀맵 미디어 서버가 의도치 않게 삭제되었고 다시 설정해야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ㅠ) 이 포스팅들은 기존에 github에 있던 코드를 다시 가져와 서버를 재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그중 centos 초기 설정에서 ssh를 설정했던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entOS 초기설정에서 설치해두고 구석에 박아두었던 mongoDB를 설정해보겠습니다. mongoDB의 설정 관련 정보는 /etc/mongod.conf에 들어있습니다. 해당 파일을 열어 접속을 위한 기본설정들을 진행해줍니다. 1. 접속 포트 변경 기본적으로 mongoDB의 접속포트는 27017입니다. 어떤 서비스던 기본값은 항상 위험하므로,원하는 값으로 바꿔주었..